Contents

3.2 Inner Products

내적(inner product)은 해석기하(analytic geometry)에서 벡터의 길이, 혹은 벡터끼리 이루는 각도나 거리를 정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며 특히 직교성(orthogonality)을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내적을 통해 정의되는 symmetric과 positive definite 성질은 이후 행렬분해(matrix decomposition)를 이해하는데 있어 필요한 성질이다.

Dot Product

엄밀한 의미에서 내적은 dot product와 구분된다. 내적은 다양한 형태의 연산을 가질 수 있으며 dot product는 내적의 한 형태이다.

Dot product는 가장 익숙한 형태의 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oldsymbol{x}^\top \boldsymbol{y} = \sum_{i=1}^n x_i y_i $$

일반적인 내적의 정의를 알아보기에 앞서 정의에 필요한 symmetric성질과 positive definite이라는 성질을 먼저 살펴보자.

General Inner Products

$V$라는 벡터 공간에 대하여 Bilinear mapping $\Omega: V \times V \to \mathbb{R}$가 있다고 해보자. Bilinear mapping은 두 argument에 대해 각각 선형성 성립하는 mapping이다. 위의 dot product와 같이 두 벡터에 대해 각각 선형성이 성립하며 실수공간으로 mapping이 되는 것을 예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Bilinear Mapping
벡터공간 $V$에서의 벡터 $\boldsymbol{x}, \boldsymbol{y}, \boldsymbol{z} \in V$와 실수 $\lambda, \psi \in \mathbb{R}$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는 mapping을 bilinear mapping 이라고 한다. $$\begin{aligned} \Omega(\lambda \boldsymbol{x}+\psi \boldsymbol{y}, \boldsymbol{z}) &=\lambda \Omega(\boldsymbol{x}, \boldsymbol{z})+\psi \Omega(\boldsymbol{y}, \boldsymbol{z}) \cr \Omega(\boldsymbol{x}, \lambda \boldsymbol{y}+\psi \boldsymbol{z}) &=\lambda \Omega(\boldsymbol{x}, \boldsymbol{y})+\psi \Omega(\boldsymbol{x}, \boldsymbol{z}) \end{aligned}$$
Symmetric
Bilinear mapping이 다음을 만족하면 symmetric하다고 한다. $$\Omega(\boldsymbol{x}, \boldsymbol{y}) = \Omega(\boldsymbol{y}, \boldsymbol{x}) \ \text{for all} \ \boldsymbol{x}, \boldsymbol{y} \in V$$
Positive Definite
다음을 만족하면 $\Omega$는 positive definite이라고 한다. $$\forall \boldsymbol{x} \in V \setminus { \boldsymbol{0} }: \Omega(\boldsymbol{x}, \boldsymbol{x}) > 0, \ \Omega(\boldsymbol{0}, \boldsymbol{0}) = 0$$ 즉, $\boldsymbol{0}$이 아닌 벡터공간 $V$의 원소 $\boldsymbol{x}$가 자기 자신에 대한 mapping $\Omega$에 대해 양의 값을 가지고 $\boldsymbol{0}$간의 $\Omega$ 결과가 실수 0일때 $\Omega$를 postive definite하다고 한다.

이 내용들을 종합해서 일반적인 의미의 내적을 정의할 수 있다.

Inner Product

벡터공간 $V$와 두 벡터를 실수로 mapping하는 bilinear mapping $\Omega: V \times V \rightarrow \mathbb{R}$을 가정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Positive definite, symmetric bilinear mapping $\Omega: V \times V \rightarrow \mathbb{R}$을 벡터공간 $V$의 내적(inner product) 이라고 한다. 내적은 $\langle \boldsymbol{x}, \boldsymbol{y} \rangle$로 표기한다.
  • 벡터공간과 내적의 pair $\left( V, \langle \cdot, \cdot \rangle \right)$를 inner product space라고 한다. 내적을 dot product로 한 경우에 한정해 $\left( V, \langle \cdot, \cdot \rangle \right)$를 Euclidean vector space라고 한다.

Example

내적과 dot product를 구분하기 위해 책에 언급된 예제를 살펴보자.

Example: Inner Product That Is Not the Dot Product

Consider $V = \mathbb{R}^2$. If we define

$$\langle \boldsymbol{x}, \boldsymbol{y} \rangle := x_1y_1 - (x_1y_2 + x_2y_1) + 2x_2y_2$$ then $\langle \cdot, \cdot \rangle$ is an inner product but different from the dot product.

벡터 $\boldsymbol{x} = [x_1, x_2]^\top$와 $\boldsymbol{y} = [y_1, y_2]^\top$의 순서를 바꾸어도 성립함을 알 수 있으며(symmetric), 영벡터에 대해서는 0으로 mapping이 되고 $\langle \boldsymbol{x}, \boldsymbol{x} \rangle$에 대해서 항상 0 이상이 성립하므로(positive definite) 문제에서 정의된 mapping은 내적이다. 하지만 dot product $(x_1y_1 + x_2y_2)$는 아님을 알 수 있다.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ces

내적의 정의를 통해 symmetric positive (semi)definite matrix도 유도할 수 있다. $n$차원 벡터공간 $V$에 대하여 basis가 $B = (\boldsymbol{b}_1, \ldots, \boldsymbol{b}_n)$라면 벡터공간 내 임의의 $\boldsymbol{x}, \boldsymbol{y}$는 basis의 선형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 \boldsymbol{x} = \sum_{i=1}^n \psi_i\boldsymbol{b}_i, \ \psi_i \in \mathbb{R} $$

$$ \boldsymbol{y} = \sum_{j=1}^n \lambda_j\boldsymbol{b}_j, \ \lambda_j \in \mathbb{R} $$

이 두 벡터로 내적을 하면 선형성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begin{aligned} \langle \boldsymbol{x}, \boldsymbol{y} \rangle &= \left \langle \sum_{i=1}^n \psi_i \boldsymbol{b}_i, \sum_{j=1}^n \lambda_j \boldsymbol{b}_j \right \rangle \cr &= \sum_{i=1}^n \sum_{j=1}^n \psi_i \langle \boldsymbol{b}_i, \boldsymbol{b}_j \rangle \lambda_j \cr &= \hat{\boldsymbol{x}}^\top \boldsymbol{A} \hat{\boldsymbol{y}} \end{aligned} $$

이 때, $A_{ij}:= \langle \boldsymbol{b}_i, \boldsymbol{b}_j \rangle$이며 $\hat{\boldsymbol{x}}, \hat{\boldsymbol{y}}$는 basis $B$에 대한 $\boldsymbol{x}, \boldsymbol{y}$의 좌표이다. 이 말은 내적 $\langle \cdot, \cdot \rangle$이 행렬 $\boldsymbol{A}$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 내적의 symmetric 여부는 $\boldsymbol{A}$가 결정하며 내적의 positive definiteness는 $\forall \boldsymbol{x} \in V \setminus {\boldsymbol{0}}: \boldsymbol{x}^\top \boldsymbol{A} \boldsymbol{x} > 0$를 만족하여야 한다. 위 식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 $\boldsymbol{A}$를 positive semidefinite이라고 한다.

Real-valued, Finite-dimensional Vector Space and Ordered Basis

유한차원의 실수 벡터공간 $V$의 ordered basis $B$에 대해서는 다음이 성립한다.

  • 내적을 $\langle \cdot, \cdot \rangle: V \times V \to \mathbb{R}$라고 할 때, 벡터공간 $V$의 원소 $\boldsymbol{x}, \boldsymbol{y}$에 대해 $\langle \boldsymbol{x}, \boldsymbol{y} \rangle = \hat{\boldsymbol{x}}^\top \boldsymbol{A} \hat{\boldsymbol{y}}$이 정의되는 것은 행렬 $\boldsymbol{A} \in \mathbb{R}^{n \times n}$가 symmetric하고 positive definite한 것과 동치이다.

또한 $\boldsymbol{A} \in \mathbb{R}^{n \times n}$가 symmetric하고 positive definite하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boldsymbol{A}$의 null space(kernel)은 $\boldsymbol{0}$뿐이다.

    Positive definite에 의해 영벡터가 아닌 모든 벡터에 대해 $\boldsymbol{x}^\top \boldsymbol{A} \boldsymbol{x} > 0$이다. 따라서 kernel이 될 수 있는건 영벡터 뿐이다.

  • $\boldsymbol{A}$의 대각성분 $a_{ii}$는 모두 양수이다.

    $\boldsymbol{e}_i$는 standard basis $\mathbb{R}^{n}$의 $i$번째 벡터로 $a_{ii}$는 $\boldsymbol{e}_i^\top \boldsymbol{A} \boldsymbol{e}_i$를 계산해 얻을 수 있으며 해당 값은 positive definite에 의해 양수가 된다.

Reference